[탈핵][한겨례신문] 현지주민"핵폐기장 절대 불가"(2003/02/04)

2003.04.23 | 미분류

■ 후보지 4곳 현지 표정

4일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후보지로 발표된 경북 울진, 영덕과 전북 고창, 전남 영광 등 4개 지역은 고창의 일부 주민을 제외하고는 “절대불가”를 외치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 환경운동연합 등 21개 단체로 구성된 ‘핵폐기장 추진 중단, 핵 중심 에너지정책 전환을 위한 범국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 분수대 광장에서 집회를 열어 후보지 선정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후보지 선정 과정에서 지역주민 의견을 우선하겠다는 공언을 지키지 않았으며 터의 안전성에 대한 엄중한 검토도 뒷전에 밀렸다”고 주장했다.

울진·영덕·영광=울진의 경우 지난달 중순부터 마을 300여곳에 ‘핵폐기장 결사반대’라는 플래카드가 내걸린 분위기가 말해주듯 주민들은 한목소리로 핵폐기장 설치에 반대하고 있다. 100여개 단체가 모인 울진원전반대공동대책위는 지난달 대통령직 인수위를 찾아가 주민 1만여명이 서명한 반대결의문을 전달한데 이어 5일 긴급모임을 갖고 구체적 투쟁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1989년 수개월간의 반대시위 끝에 영덕군 남정 핵시설 설치를 무산시켰던 영덕주민들은 “10년 이상 조용했는데 이게 무슨 날벼락이냐”며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당시 핵시설 반대시위에 앞장섰던 이안국(50·<고향신문> 발행인)씨는 “영덕에 핵시설이 들어서면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동해안 자연환경과 청정 해역이 파괴돼 주민들은 생존권을 위협받게 된다”고 주장했다.

영광 주민들도 “한국수력원자력이 내놓은 반도덕적인 용역 결과와 정부의 결정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거세게 반발했다. 영광농민회 등 92개 단체로 구성된 ‘핵폐기장 반대 영광군민 대책위’(공동의장 이하영)는 5일 오후 2시 비상대책 회의를 연 뒤 즉각 농성에 돌입하고, △이장단 사퇴 △자녀 등교거부 등 반대투쟁도 계획하고 있다. 영광군과 군의회도 “지역개발보다 환경이 우선”이라며 후보지 선정에 반대하고 있다.

고창=반대 의견이 우세하긴 하지만 4개 후보지 중 유일하게 찬성 의견이 공식적으로 나와 있다. 이길연씨 등 484명이 지난해 10월 유치탄원서를 군에 제출했으나, 군은 주민공감대 형성과 현안문제 해결의 선행조건을 달아 반대했다.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유치추진위원회’ 박상근 위원장은 “2년간 200여명의 자발적인 참여로 유치활동을 전개했으며, 계속 유치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경애 기자, 울진 영덕 고창 영광/구대선 안관옥 정대하 기자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