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과 15일, 그리고 17일 또다시 충돌이 발생했다. 촛불집회를 나서던 주민들의 길목에 경찰이 곳곳에서 막아섰기 때문이다. 또 ‘주민투표’할 의사가 없는 정부는 안이한 태도와 대책으로 ‘대화’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를 엇나가 버렸다.
정부, 부안 주민 투표에 반대 “4월 총선 이후에나 가능해”라고 밝혀,,,
정부는 17일 위도 핵 폐기장 시설과 관련한 부안군민들의 ‘연내 주민투표 실시’ 주장에 대해서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대책위측은 정부가 ‘연내 주민투표 실시’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대화기구에서 철수하겠다고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대화가 결렬될 것이다.
그간 문제해결을 위해 정부와 대화하던 대책위측은 정부가 문제해결에 대해 너무 안이한 태도를 보인다고 생각해왔다. 결국 정부는 17일 오후 협의에서 “주민투표를 통한 부안 문제 해결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면서도, “그러나 주민투표를 연내로 확정해 시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번 정부의 ‘연내 주민투표 수용 불가’를 두고 일각에서는 그간 정부의 대화 분위기 조성 움직임이 일종의 기만책이 아니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사실상 부안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주민투표’를 주민들이 수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정부 모두 ‘연내 주민투표 불가’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안이한 결정으로 주민과 경찰 모두 크게 다쳐,,
결국 17일 정부가 부안군민들의 ‘연내 주민투표 실시’ 요구에 대해 반대입장을 공식통보함으로써 ‘부안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협의회’가 결렬되고 부안군민들의 분노는 폭발했다.
정부가 부안주민들이 어렵게 결정한 주민투표를 받아들이지 않아 앞으로 양측간의 대화지속은 어렵게된 가운데 부안군민의 시위에 농기구가 등장하는 등 부안사태가 걷잡을 수 없는 사태로 빠져들고 있다.
이날 오후 5시 20분경 대화기구 결렬소식이 전해지자 8개지역 각 면에서는 긴급집회를 통해 향후 투쟁을 결의했다. 또 25일 부안군의회 정례회 등원거부를 통해 10명의 군의원은 핵폐기장 반대에 나설 것을 재결의했다.
대화기구 결렬이후 수협사거리 반핵민주광장 촛불집회에서는 ‘주민투표라는 마지막 양보안’인 연내 주민투표를 받아들이지 않은 정부를 성토하고 새로운 투쟁을 조직하자는 자유발언이 줄을 이었다.
촛불집회 참가 부안군민들은 “연내 주민투표라는 마지막 충고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면서 “더욱더 조직적이고 단결된 힘으로 핵폐기장을 막아내겠다”고 선언한 후 군청행진에 돌입했다.
저녁 9시 45분경부터 시작된 군청행진 과정에서 전의경과 충돌해 아스팔트 도로위로 주민들이 끌려가고 방패로 가격당하는 등 주민 40여명 이상이 부상당하고 대책위 간부및 주민 수십여명이 현장에서 연행됐다. 이외 어린학생도 전경의 곤봉에 맞아 치아가 망가졌고 다른 학생은 머리부분이 방패에 깊이 찍혀 크게 다쳤다.
한편, 핵폐기장 백지화 부안대책위는 “정부가 주민들의 주민투표 양보안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모든 일손을 놓고 수협앞 19일 총궐기 투쟁을 하겠다”고 언급했다.
관련문의 : 녹색연합 이버들 (02-747-8500) / 자료 : 참소리, 범부안군민대책위, 프레시안.
<연내에 주민 투표를 실시해야 하는 이유>
1. 부안에서 ‘주민투표’를 전격 수용한 것은 정부측이 그간 주장한 입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는 부안 현안의 해결 방안으로 정부가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찬·반 토론을 거쳐 주민의 총의를 모아 해결하자는 제안해온 것으로, 이에 대해 부안 주민들은 위도의 핵폐기장은 절차적 민주주의의 문제, 매수적 방법에 의한 주민 회유 등 여러 문제가 있으므로 전면 백지화하여야 한다고 입장을 밝혀왔다. 2. 연내 주민투표 실시는 민란으로 번질 부안 사태를 서로의 희생을 줄이고 평화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민투표를 내년으로 미루는 것은 또다른 피해를 불러올 것이다. 현재까지 부안은 300여명의 주민들이 경찰의 폭력에 의해 부상당하고 17명이 구속되고 54명이 불구속 입건되었고 경찰도 명이 부상을 입는 등 서로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다. 3. 부안 주민들은 빨리 생업으로 돌아가야 한다. 4. 정부에서 홍보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논리에 대하여 후보지 확정 이후 산자부와 한수원은 수십종의 유인물을 발간하여 각 가정에 배포하고 TV, 신문 광고 등 지금까지 어마어마한 물량의 홍보활동을 해 왔다. 공무원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해외시찰, 국내 원전 견학을 시키고 심지어 선물 공세까지 하고 있다. 5. ‘연내 주민투표’는 참여정부에 대한 부안군민의 마지막 충언이며, 절규다. 김종규 군수의 핵폐기장 유치 신청은 위도 주민들의 유치 청원이 그 근거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핵폐기장 백지화·핵발전소 추방 범 부안군대책위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