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교실에 선 부안지역 교사들 상경, 청원 활동

2003.09.23 | 미분류

“비민주적 핵폐기장 백지화를 통한 등교거부사태 해결과 핵 위주의 에너지 정책전환을 촉구하는 청원서”  국회·청와대 제출  
                                                                                 9월 24일(수) 오후 1시 30분  
                                                     국회 앞 대한주택보증건물 앞(한나라당사 건너편)

부안핵폐기장 선정으로 부안 초중고 학생들이 한달째 등교거부를 하고있는 가운데 이강산 부안초등학교 교사 등 70여명의 부안지역 교사들이 9월 24일(수)상경, 핵폐기장 백지화를 통한 등교거부사태 해결과 핵 위주의 에너지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청원활동을 펼친다.

부안지역 교사들은 이날 조부영 국회부의장, 김근태 통합신당 대표 등을 면담(미확정), 부안지역 교사들의 청원서를 전달할 예정이며 이어 청와대로 이동,  같은 내용의 청원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부안 지역의 교사들은 수백명이 청원한 청원서에서 ” 학생과 학부모가 ‘핵폐기장 백지화’될 때까지 ‘등교거부’를 거듭 결의하고 있어 학생들의 소중한 ‘학습권’이 정부정책에 의해 포기되는 사실에 가슴 아픕니다.
교육부총리는 어떠한 경우에도 학생들의 ‘학습권’은 보호되어야 한다고 하였지만 정작 정부는 ‘학습권’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 실정입니다.
학부모나 학생들을 설득하라는 방침은 이미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학교와 교사는 이로 인해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극도의 불신을 받게 되었습니다.”며 부안지역의 교육 현황을 밝히고 있다.

이들은 또한 정부 정책의 의해
“우리는 민주주의를 가르치고 민주 시민을 육성해야 할 책임이 있는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하고자 합니다. ‘등교거부’까지 할 수 밖에 없는 절박한 부안 학부모와 학생의 정서(집단 이기주의가 아닌)를 외면할 수 없는 부안 지역 교사로서 학생들을 거리가 아닌 학교에서 만나기 위해, 더 이상 아이들이 없는 학교에서 교무실만 우두커니 지키고 있을 수 없어 이렇게 연명으로 청원을 합니다.”
빈 교실을 지키고있는 교사로서 가슴 아픈 청원 이유를 밝히고 있다.

이들은 “우리는 아이들을 정말 학교에서 가르치고 싶다”는 소망으로 청원서를 마무리하고 비민주적인 ‘핵폐기장 선정’으로 발생한 학생들의 대규모 등교거부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관계당국은 부안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조속한 학교교육정상화를 위해 적극 노력할 것과 국회는 핵위주의 에너지 정책을 재생가능한 에너지 개발정책으로 전환하도록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2003. 9. 23
반핵국민행동/ 범부안군민대책위

문의 : 대안사회국 이버들 (02-747-8500) / 반핵국민행동 (02-735-7000)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