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집결지와 구호소, 방재센터를 가다!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이하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 방재대책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원전 반경 30km 이내 주민들에게 실내 대피령을 내렸습니다. 우리나라 부산시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원전의 경우 반경 30k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은 330만 여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원전사고 시 대피 요령조차 모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녹색연합은 원전을 폐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당장 모든 원전을 폐쇄시킬 수 없기에 원전을 일정 기간 안전하게 유지·관리하고 원전 사고시 주민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주민보호를 위한 방사능 방재 대책의 핵심은 원전 사고시 주민들이 안전하게 구호소로 대피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고리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주민들이 1차로 모이는 집결지에서 구호소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까요? 이를 확인하기 위해 녹색연합은 지난 9월 5~6일 고리원전 주변 집결지와 구호소, 그리고 방재 대책을 총괄하는 고리방사능방재센터를 조사했습니다. 조사를 떠나기 전, 부산광역시 방사능방재계획상에 나타난 집결지와 구호소의 위치와 대피시간 등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고리방사능방재센터를 방문 조사하기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 담당 사무관에게 방문 목적을 전하고 일정을 조율했습니다.
집결지와 구호소 탐방 결과 집결지의 경우 주민들이 집결지인 것을 알 수 있는 표지 및 알림을 확인할 수 없었고, 마을주민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버스 등 차량이 진입하기에는 좁은 도로 여건이었습니다. 구호소로 이동하기 위한 도로의 경우 왕복 4차선으로 협소해 사고시 교통 혼잡이 예상됐습니다. 구호소의 경우 일반학교로 지정돼 있는데, 위급시 구호를 위한 장비 및 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고리방사능방재센터 탐방 결과 실제 방재센터에 상주하는 전문가는 원자력안전위위원회와 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파견된 2인에 불가했습니다. 방재센터는 원전 반경 약 14km에 위치해 있어 방사성 물질 누출 확대시 안전을 담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었습니다. 방재센터 시설 건물은 대규모 방사성 물질 누출에 대비한 설계기준을 갖추고 있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비상시 대응을 위한 매뉴얼을 갖추고 있다고 하나, 평상시 방재 대책을 위한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위급 상황 발생시 원활한 대응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었습니다.
녹색연합은 앞으로 여러 차례 조사를 추가해 주민들을 위한 핵재앙 대응 매뉴얼을 만들 예정입니다. 원전 주변 주민들이 원전 사고시에도 당황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주민의 입장에서 매뉴얼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지켜봐 주세요!
글 : 권승문(녹색연합 에너지기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