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아카데미 입문과정
㉠ 대상 : 30명(대학생, 교사, 일반인, 공무원 등 습지교육에 입문하는 사람)
㉡ 기간 : 한 달 과정, 8강좌(매주 수요일 오후 7~9시, 토요일 오후 3~6시)
㉢ 장소 : 습지교육원 사무실, 한강하구, 강화갯벌
㉤ 프로그램 세부교육내용
○ 1주-1 : 습지(연안/내륙습지와 세부 항목)를 구분하는 국내 기준/ 람사협약에서 분류하는 습지 유형/
국내 습지의 다양한 형태(사진, 생물상 등) /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는 어떻게 연결되어있는가? (그래픽작업) /
(연안/내륙습지)의 기본 개념과 국내외 습지 구분/ 습지보호지역 지정 자료(연안/내륙습지)/
○ 1주-2 : 서울 도심공원 (길동생태공원, 서울숲, 선유도공원, 청계천 등)에서 사진과 기록을 통한
인공습지 이해 /
준비물 (쌍안경, 필드스코우프, 카메라, 필기구)
○ 2주-1 : 하천과 하구습지생태계의 기본적 이해/ 도요물떼새와 오리기러기류 구분방법 /
소리와 모양으로 구분하는 요령 /
물새 관찰요령(쌍안경, 필드스코우프 사용방법, 복장, 자세)과 기본 장비구입 방법
○ 2주-2 : 곡릉천과 한강하구의 물새서식지로서 중요성 /
물새(도요.물떼새 / 오리.기러기류)관찰 요령 실습 /
한강하구의 주요습지(장항습지, 신남습지 등) 설명 /
한강하구와 강화갯벌의 연관성 설명
○ 3주-1 : 갯벌의 종류 설명 (펄, 모래, 혼합, 바위갯벌) / 갯벌생태계 이해/
물떼 보는 법/ 갯벌관찰시 주의사항과 준비물 /
갯벌의 저서생물(십각류, 이매패류, 환형동물, 복족류 등)
○ 3주-2 : 갯벌관찰시 주의사항 / 갯벌이란 무엇인가 / 염생식물 /
강화 남단 장흥리, 선두리, 초지대교 갯벌 등 체험교육을 통한 갯벌 저서생물 현장강의
○ 4주-1 : 습지와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의 조화 / 돌살 등 전통어법 / 해안림 / 사라지는 어촌문화 등
○ 4주-2 : 참가자들이 주관하는 현장조사기법 실습, 수료식
㉥ 준비물
– 교육원 준비 : 채집통, 부삽, 핀셋, 루페, 교재,
– 참가자 준비 : 필기구, 카메라, 쌍안경/스코우프
㉦ 수강료 : 16만원(녹색연합회원 21%할인 13만원)
㉧ 문의 : 녹색습지교육원 구대수 02-6497-4850 / 017-224-37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