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새달 4월호 벼리]
|
|
![]() |
특집 | 지구별 흙을 지켜줘 흙 생태계를 이루는 바탕은 균형과 조화이다. 비옥한 토양 한 줌에는 지구에 사는 사람 수보다 더 많은 생물체들이 살고 땅 위 모든 생명들은 흙속 생태계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하지만 흙은 여전히 우리에게 미지의 세계.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만나게 마련이고 알아 갈수록 그 놀라운 세계에 경외감을 갖게 되는 땅속 생태계. 그동안 우리를 품고 보듬어 일으켜 준 흙을 다시 만난다.
14 대지의 향기 – 파미르 고원 | 이상엽 46 어머니 대지를 위한 로비스트 | 정은영 52 땅을 갈아엎지 않으면 자연이 보인다 | 김기돈 54 오랜만이야, 땅속 세상아 | 민균 56 땅, 농업, 기후변화 | 박광래ㆍ정원교 60 땅속을 지키는 작은 파수꾼들 | 편집부 66 올해의 흙, 5년의 기록 | 윤석인 70 흙지키기 안내서 | 편집부 74 나뭇잎이 흙이 되기까지 | 편집부 |
[녹색감성] 2 숲에서 온 미술관 봄을 빚다 | 최진희 4 빛그림 이야기 동행 | 김시동 10 하늘에서 본 세상 지중해와 사하라 사이 | 탁기형 12 임종길의 그림일기 소박하게 먹기 위한 | 임종길 20 마중물 길에서 만나는 어머니들은 세상 모든 자식들의 어머니다 | 강제윤 100 메아리 해마다 새로 시작하는 사랑 | 홍은정 |
|
[녹색철학] 26 지구별 생태칼럼 가짜돈 | 제임스 브리쥐 28 할아버지 무릎에 앉아서 사람은 꼭 땅을 가져야 행복한가요? | 이현주 30 녹색시론 빗물, 그리운 봄비 | 김해창 76 작아가 만난 사람 해남의 붉은 황토에 두 발을 딛고 – 김군호 | 김기돈 82 대화 디자이너여, 지속가능한 삶을 디자인하라 | 정시화ㆍ오창섭 |
|
[녹색문화] 8 우리땅 생태지도 한새봉 숲길 | 광주 앞산뒷산 44 이윤엽의 세상보기 봄 할미꽃이 꼿꼿이 피었습니다 | 이윤엽 96 초록자전거 햇빛아궁이와 함께 |민균 102 경작본능을 깨우다 풍신난 도시농부들 여기 있소 | 이근이 |
|
[녹색현장] 36 이달의 녹색현장 |편집부 44 고릴라의 해 기획 인도네시아 숲과 위기에 처한 오랑우탄 | 김미영 94 그대로 흐르게 하라 경인운하, 그 어리석인 선택 | 권창식 |
|
[녹색생활] 16 재생종이는 아름답습니다 모든 것의 근원이 자연이고 숲이잖아요 – 김혜수 | 편집부 104 녹색 상담소 ‘고구마 캐기’가 ‘운동회’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어요 | 박용범 106 녹색돈 녹색경제 모든 마을에 품앗이가 생기면 그것이 혁명이겠지요 | 김성훈 112 녹색으로 키운다 환경호르몬 대 성장호르몬 | 박명숙 114 녹색을 배우는 아이들 녹색소풍 어떻게 준비할까 | 이종훈 116 녹색멋 녹색생활 결혼식날을 푸르게 푸르게 | 김희정 119 녹색 물건을 소개합니다 화분을 심을까? 씨앗을 심을까? | 편집부 |
|
[녹색정보] 120 동화책을 펼치다 야생지대에는 세상의 희망이 있어요 | 토마스 로커 122 새로 나온 책들 124 주제가 있는 책 125 서평 세상이 변화하기를 원한다면 | 신혜정 126 푸른알림판 128 환경미디어 정보 |
|
[작아소식] 130 읽새통신 132 편집실통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