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대비 태세 강화하자
5월 15일까지 인명과 주택 피해 예방 총력을 기울이자
산불 위험이 커지고 있다. 4월 27일 오전 10시 현재 영남 전지역과 강원 영동 및 강원 남부 지역에 건조 주의보와 경보가 발효되어 있다. 여기에 더해 강원 영동 대부분 지역에 강풍 주의보까지 발효되어 있다. 산림청은 어제 4월 26일에 강원 경북 동해안에 ‘대형 산불 위험 예보’를 발령했다. 동해안 전 지역에 건조한 대기에 강풍이 불고 있다. 대형 산불 위험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염려스러운 것은 강원과 영남에 5월 7일까지 비 예보가 없다는 점이다.
5월 첫주 직장마다 짧게는 4일, 길게는 6일 동안 연휴다. 이 시기에 시민들은 산과 자연으로 많은 발걸음이 이어질 예정이다. 날씨와 사회적 분위기가 산불 위험을 높이고 있다. 산불 위험을 줄이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때다. 무엇보다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2017년부터 5월 대형 산불의 빈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2017년 5월 2일과 3일 대선 시기에 경북 상주 강원 강릉 동해삼척에서 대형산불이 있었다. 2022년 5월 28일 울진 대형 산불과 5월 31일 밀양 대형 산불이 있었다. 기후위기 산불은 연중화하고 있다. 5월에도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3월 영남의 대형 산불을 통해서 산불은 발생 자체를 줄이는 것이 최선이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깨우쳤다. 2022년 대형 산불과 2023년 대형 산불을 통해서도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산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비상 대비 태세가 필요하다.
행안부·산림청·소방청 등은 5월 15일 산불 비상 대책 기간까지 총력을 다해 주셔야 할 것이다. 특히 5월 연휴가 끝나는 날까지 비가 오지 않는다면 힘들고 어렵더라도 비상 대비 태세를 최대치로 끌어 올려야 한다. 중앙 정부의 산불 대비 태세만큼 중요한 것이 시도와 시군의 비상 대비 태세다. ‘양치기 소년을 두려워하지 말고’ 건조 주의보에 강풍 징후가 있는 시군은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할 수 있도록 단계별 대응을 점검하는 노력을 즉시 시작해야 한다.
강원·경북·경남·대구·울산·부산 등의 광역지자체는 시도지사를 위시하여 모든 인력이 비상 대비의 자세로 산불 위험에 대한 경계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이 지역의 지자체장도 5월 7일까지 관내에 비가 오지 않으면 단계별 비상근무 체계로 돌입하여 산불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5월 15일까지 건조와 강풍 위험이 있는 상황이 타개되기 전까지는 각 지자체에서 산불 위험에 대해 각별히 주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양치기 소년을 두려워하면 안 된다. 경북 산불에서도 교훈을 얻었던 것처럼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비 체계의 점검부터 바로 시작해야 한다.
5월 15일까지 산림 인접 지자체는 비 예보가 없고 건조주의보가 발효될 경우 공무원의 1/3은 산불 비상 대응 태세에 나서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상청·산림청·행안부·환경부·농진청 등이 보유하고 있는 자동 기상관측망(AWS)을 적극 활용해서 대비해야 한다. 시군 재난 상황실을 비롯한 읍면 사무소 직원들이 산불 상황 관리에 나서야 한다. 관내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기상관측장비(AWS)를 실시간 확인하여 순간 최대 풍속이 10m/s 이상이 찍힐 때는 바로 산불 위험 경고등을 울려야 한다. 이런 때는 공무원들이 일선 마을로 들어가서 이장과 주민들에 대한 산불 대응 점검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읍면동 사무소는 이장 옆에 직원들을 전진 배치시켜 상황 발생시 즉시 조치할 수 있어야 한다. 20가구 이상 산림 인접 마을은 이장을 지원하는 직원 1명을 배치하여 상황 발생 때 바로 대피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각 시군은 산불 신고가 들어옴과 동시에 해당 시군과 인접 시군은 비상 체제로 바로 전환할 수 있도록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
또한 산림 인접 시군은 건조에 강풍의 징후가 확인되면 읍면동 사무소의 행정망을 통해 산림 인접 마을의 주택과 시설물에 하루 3회 이상 미리 물을 뿌리는 적극적인 산불 피해 예방을 해야 한다. 관내 소방서에 협조를 요청하고 각 시군과 읍면에서 가용할 수 있는 호수 및 물 뿌리는 장비를 최대한 동원 가용하여 미리 주택과 시설물에 미리 물을 뿌리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건조한 상황에서는 작은 호수라도 찾아서 미리 주택과 시설물에 물기를 더해 주는 것이 산불이 발생했을 때 피해를 조금이라는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이다. 이런 일들이 수고스럽고 힘겹지만 미리 노력하면 상황이 발생했을 때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재난 상황에서 시민들이 믿고 의지할 곳은 행정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5월 15일 산불 비상 대책 기간까지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핵심은 비상 근무 태세다. 3월 경북 산불의 아픔이 다시 재현되지 않도록 공무원들의 헌신이 중요하다. 산림 인접 시군의 공직자들은 당장 비상근무를 시작하고 비상 체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산불은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핵심이다. 발생이 되더라도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줄이려면 미리 경계를 하는 것이 정답이다.
문의: 자연생태팀 서재철 전문위원(kioygh@greenkor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