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순례 3일차] 낮은 곳, 높은 곳의 모든 생명이 평화롭게 녹색연합은 1998년부터...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떼죽음 전면화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떼죽음 전면화 지리산, 오대산, 태백산, 설악산 등 고산침엽수...
[성명]정부 주도 평화둘레길, 보전 대책 없는 DMZ 개방
정부 주도 평화둘레길, 보전 대책 없는 DMZ 개방 - 생태계 파괴와 난개발 불 보듯...
사육곰 정책 폐지를 위한 관리 방안 마련 정책토론회
사육곰 정책 폐지, 사육곰 관리 방안을 논의하는 정책토론회가 국회에서 개최됩니다. 더...
『DMZ 지뢰 제거를 위한 국제 NGO의 역할』 국제 심포지엄
남북관계의 진전을 통해 GP 시범철수, 6·25 전사자 공동유해발굴과 지뢰제거가...
[보도자료]민통선 이남 지뢰 지대 방치
민통선 이남 지역 지뢰 지대 방치 - 민통선 북상 이후 지뢰 지대는 그대로 남아 -...
힘을 모아야 할 때 (제70회 CITES 상임위원회)
10월 1일부터 5일까지 러시아 소치에서는 제70회 CITES상임위원회가 개최됐습니다....
[보도자료]DMZ유해발굴사업의 환경평가 대책
DMZ유해발굴사업의 환경평가 대책 DMZ 첫 번째 사업에서 환경평가 생략 사업추진,...
[보도자료]아무르 산양 최남단 서식지 울진군
아무르 산양 최남단 집단서식지 울진군 - 야생동물탐사단 9기, 울진에서 9일 동안 조사...
[보도자료]녹색연합·국립수목원, ‘평화와 생명의 DMZ’ 발간
녹색연합·국립수목원, ‘평화와 생명의 DMZ’ 발간 - 비무장지대 일원 자연환경과...
[모집]비무장지대 다큐제작단
남북정상의 판문점 선언으로 한반도에 평화가 도래하는 역사적인 시기입니다. 녹색연합은...
[모집] DMZ서포터즈 모집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눈앞입니다. 정전협정과 평화협정의 실질적인 공간인 DMZ에...
[보도자료]평창올림픽에 초대받지 못한 628마리 반다비
- 패럴림픽 마스코트라며 주목 받지만 현실에서는 웅담채취용 곰 - 개최지 강원도를...
[보도자료]복원 외면한 가리왕산 스키장
-전면복원 결정된 가리왕산스키장, 공사 과정에서 복원 철저히 외면 -환경부의...
웅담 산업은 사양 산업이다
<베트남 농장의 사육곰> 베트남은 한국, 중국과 더불어 사육곰이...
[플랜G] 곰이 열 살이 되면
며칠 남지 않았다. 곧 있으면 2017년의 마지막 날을 지나 새로운 해를 맞이한다....
[성명서]환경부, 중성화 수술 완료한 사육곰 방치
환경부, 중성화 수술 완료한 사육곰 방치 -2018년 사육곰관리 신규예산 67억 원...
[보도자료]천연기념물 산양, 건강하게 자연의 품으로
천연기념물 산양, 건강하게 자연의 품으로 - 지난 2013년에 이어 울진에 2번째 방사...
[보도자료] 철도 난개발로 예산낭비, 환경생태파괴 가속화, 철도 공공성 악화
녹색연합 철도난개발과 공공성 악화 보고서 발표 국토부 백두대간 관통 대형...
기상이변으로 보호구역 산사태 가속화
기상이변으로 보호구역 산사태 가속화 - 백두대간, 국립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야생동물탐사단 8기 두 번째 이야기
야생동물과 나 동물은 내가 어릴 적부터 희노애락을 함께한 존재였다. 동물은 나에게...
[모집] DMZ 스토리텔링 자원활동가 모집
DMZ 스토리텔링 자원활동가 모집 DMZ를 통한 남북 화해와 협력은 외면할...
[논평]이용 중심의 국립공원 관리 50년, 이제는 자연자원 보존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용 중심의 국립공원 관리 50년, 이제는 자연자원 보존으로 나아가야 한다. . 이...
[성명] 수도산 출현 곰, 지리산 반달곰으로 밝혀져
[성명] 수도산 출현 곰, 지리산 반달곰으로 밝혀져 -환경부는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
[보도자료] 인근 사육농가 없는 곳, 김천 수도산에 곰 출현
[보도자료] 인근 사육농가 없는 곳, 김천 수도산에 곰 출현 - 지리산 반달가슴곰...
[보도자료] 36년 웅담산업 종식을 위한 사육곰 중성화 수술 완료
[보도자료] 36년 웅담산업 종식을 위한 사육곰 중성화 수술 완료 - 증식금지 사업...
[모집] 백두대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카카오와 녹색연합이 공동으로 백두대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합 니다. 국내...
기후변화 다큐 제작단을 모집합니다
기후변화가 한반도에서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생태계 변화를 비롯하여 생물종 감소 현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