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ssuu.com/i_greenkorea/docs/_25_?fr=xKAE9_...
[25회 녹색순례] 다시 만난 민주주의 ‘순례를 시작하며’
[제25회 녹색순례 ‘다시 만난 민주주의, 생명의 길을 걷다’] 1998년부터 해마다...
315호|우녹사 ‘터프한 자연 속으로 함께 가요’ – 한윤정 대표 인터뷰
3월 22일 14회 녹색연합 정기총회에서 신임 공동대표로 한윤정 대표가 취임했습니다....
[참가 신청] 제25회 녹색순례 ‘다시 만난 민주주의, 생명의 길을 걷다’
1998년부터 해마다 봄이 오면 녹색연합 활동가들은 녹색순례를 떠납니다. 무분별한...
2024 녹색연합 활동보고서
https://issuu.com/i_greenkorea/docs/greennews_repo...
[참여] 윤석열 파면 촉구 시민의견서, 헌법재판소에 제출하기!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탄핵심판이 진행 중입니다. 윤석열은 좁혀오는 수사망을 회피하고...
[보도자료] 윤석열과 함께 탄핵되어야 할 탄핵정책
탄핵소추 의결. 국민의 명령이다. 윤석열과 함께 탄핵되어야 할 탄핵정책...
[보도자료] 녹색연합, 웅담채취용 사육곰 구출 프로젝트 본격화
● 사육곰 구출을 위한 첫번째 프로젝트로 뮤지션 이랑과 함께 사육곰 노래를 만들어...
[후기] 동물권, 동물법 — 동물에게 정치적 권리를 부여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몇 년 전 차도 한 가운데에 위태롭게 앉아 있던 아기 고양이를 구조하면서 집사가...
[후기] 동물권, 동물법 — 인간과 비인간동물이 법적으로 연결되는 아름다운 순간이라니
강연을 듣기 전, 나는 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조건이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
[교육] 동물권, 동물법 – 공존이 가능한 새로운 세계를 만나는 법 함께 배워요!
모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비인간존재가 권리를 가지는...
[발간] 녹색연합 32년 활동의 성과를 담은 임팩트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저보다 긴 역사를 자랑하는 녹색연합. 우리 녹색연합의 주요 환경 의제와 임팩트 핵심...
[모집] 나만의 씨앗 종이 만들기 워크숍 – 폐종이에 생명을!
매일 보는 신문, 친환경 택배 완충 종이 사무실에서 사용하고 버려지는 A4 용지는 또...
[카드뉴스] 가덕도 신공항, 과연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 될까?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은 지난 6월 24일, 좌장을 맡은 이민원 전 국토균형발전위원장의...
[보도자료]녹색연합이 꼽은 ‘22대 국회의 시급한 환경의제’
22대 국회가 개원했다. 각종 이슈와 현안으로 난맥상을 겪고 있는 윤석열 정부의...
인천녹색연합 활동가 채용 공고
인천녹색연합 활동가 공개 채용 93년 창립하여 정부지원금 없이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기고] 산양 집 빼앗고 15분 만에 설악산 정상정복 하고 싶어?
‘산양 똥’에게 배우다 산양 똥을 본 적 있나요? 누군가의 똥을 보고 반갑기는 쉽지...
녹색연합 인스타그램 사칭 계정을 조심하세요!
안녕하세요, 녹색연합입니다. 최근 녹색연합 공식 인스타그램의 콘텐츠를 무단 복제,...
[토론회 자료집] 오염된 용산미군기지의 공원개방, 이대로 둘 것인가
https://issuu.com/i_greenkorea/docs/20230822_
녹색희망 300호 특별전시 <녹색희망 GREEN HOPE>
공간을 공유하다, 지구를 공유하다 SHARE SPACE, SHARE THE EARTH...
[연명 요청] 녹색연합 압수수색 규탄 긴급기자회견 공동주최 연명을 요청합니다
윤석열 정부는 시민사회에 대한 공격과 민주주의 퇴행을 중단하라 9월 1일 오전,...
지구의 날부터 환경의 날, 녹색연합의 회원이 되어주세요.
녹색연합은 1991년 창립하여 우리나라 자연을 지키는 환경단체입니다. 주요...
녹색연합 활동보고서 – 2022
플라스틱 이슈리포트 – 화장품 용기 재활용의 오해와 진실
[보도자료]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밀실협의 규탄’ 8일간의 순례 시작
오늘(1월 26일) 불법 확약과 밀실 협의로 얼룩진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백지화를...
[방과후바당학교] 산호정원으로의 초대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세미나
기후위기 적응의 핵심과제인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이 절실한 가운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기후위기 적응에 대처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브로슈어] 원전이 기후위기 대안이라고?
[보도자료] 2022년 기후위기 금강소나무 고사 실태
기후 스트레스로 소나무가 죽어가고 있다. 백두대간과 낙동정맥의 주요 생태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