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어제까지(7월 14일) '워셔액 등 화학제품 무색페트병의 분리배출 표시...
[성명]1회용컵 보증금제 정상화를 촉구한다.
친기업 모델로 변형될 우려가 높은 1회용컵 보증금제, 1회용컵 보증금제 정상화를...
[신청]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 토론회
세계 각국은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보도자료] 투명페트병 별도 선별시설 16.7%에 불과해
공동주택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의무화 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전국 선별장 중...
[성명]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 금지 정책은 시행되어야 한다.
내일(4월 1일)부터 카페 등 식품접객업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이 금지된다. 코로나19...
[논평] 배달앱 3사, 음식배달 다회용기 시범사업 참여를 환영한다.
오늘(3/25), 서울시는 배달플랫폼 4곳과 함께 음식 배달 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성명] 선거 공보물과 현수막, 시민들의 세금으로 만들었다. 쓰레기만 남는 선거 홍보는 중단되어야 한다.
지난 3월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는 ‘숫자로 보는 20대 대통령...
[성명] 환경오염 가중하는 폐현수막 재활용 국비 지원, 행정안전부의 그린워싱을 규탄한다.
오늘(3월 14일) 행정안전부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기 위한...
[카드뉴스]배달용기는 재활용 정책의 사각지대
[논평]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하는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합의 도출을 환영한다
케냐 나이로비에서 163개 회원국이 참여해 개최한 제5차 유엔환경총회는 국제적...
[성명]플라스틱 전주기 관리 방안이 포함된, 구속력있는 해양폐기물 국제협약 제정을 촉구한다.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 해양생태계를 근본적으로 구할 수...
[카드뉴스] 플라스틱 OTHER 재활용의 오해와 진실
[보도자료] 선거 홍보물 온실가스배출량 28,084ton CO2e, 일회용컵 5억 4천만 개 사용량과 같아
불과 2주간 사용되는 선거홍보물이 28,084ton CO2e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카드뉴스] 음식물쓰레기도 재활용이 된다구요?
소주 회사에서 시작… ‘쓰레기 줄이기’ 정답, 여기 있다
재활용 쓰레기로 가득찬 선별장 ⓒ녹색연합 "식초병은 되나요? 막걸리병은요? 다 투명한...
[카드뉴스]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면 다시 플라스틱이 될까
[논평] 1회용품 규제 강화를 환영한다.
오늘(1/24) 환경부는 1회용품 규제 관련 자원재활용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
[카드뉴스]재활용 통계의 오해와 진실
남해반짝! 함께 해서 든든했고, 뿌듯했습니다.
남해반짝! 함께 해서 든든했고, 뿌듯했습니다. 따가운 가을볕이 내리쬐던 10월의...
[보도자료]기후위기시대, 의정활동 보고를 위한 현수막 사용은 중단되어야 한다.
기후위기시대,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한 노력이 각계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정치권만은...
[성명] 생분해성 수지 제품의 친환경 인증 제외를 환영한다.
어제(11월 4일) 환경부는 1회용품을 환경표지 인증에서 제외하겠다고 발표했다....
[성명] 완화된 1회용품 규제,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전환하며 다시 강화되어야 한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팬데믹을 선언한지 2년이 되었다. 전 세계는 일상 회복 단계로...
[카드뉴스] ④ 다회용기 배달, 배달앱으로 한번 시켜봤습니다
[카드뉴스]③ 곳곳에서 진행중인 재사용 실험을 소개합니다
[보도자료] 포장·배달용기 21억개 생산했다. 환경부는 일회용 배달용기 사용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2020년 21억개 생산된 포장·배달용기배달이 늘었고, 쓰레기도 늘었다. 통계청...
[카드뉴스]② 대학과 골목으로 퍼진 다회용컵을 소개합니다.
[보도자료] 일회용을 거부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보도자료] 일회용을 거부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일회용 없는 서울, 어떻게...
[카드뉴스]① 우리 회사 카페에서는 다회용컵을 쓴다고요?
[논평] 시민들이 해냈다. 요기요의 다회용기 서비스 도입을 환영한다.
민간 배달앱에서의 다회용기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오늘(10/6) 서울시와 요기요,...
[토론회] 일회용 없는 서울,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코로나19 이후 일회용컵 뿐 아니라 포장·배달 플라스틱 쓰레기가 급증했고 여러 단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