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먹을까, 이제 고민 끝! 녹색연합이 추천하는 친환경요리 110선 『자연을 담은...
무너지는 호남의 정기
환경실태조사_호남정맥.hwp 2005년 호남정맥 462km 환경대탐사 결과 보고 광산,...
반쪽짜리 백두대간 보호구역안 반대한다
백두대간_보호구역_지정_경과.hwp 백두대간보전지역_최종안에_대한_입장.hwp 반쪽짜리...
백두대간 자락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우리가 올라갔던 곳 점봉산 그리 높지 않은 곳임에도 불구하고 백두대간 능선을 볼 수...
야생동물에 대한 열정과 사랑
지난 주 금요일 저녁, 지리산 반달가슴곰관리팀에서 반달곰지킴이로 활동하고 있는 이윤수...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 개정안에 대한 시민단체 의견서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가 법률안심사소위원회의를 거쳐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이하...
SOS 왕피천 – 산림청의 부실관리에 신음하는 생태보고 왕피천
산림청, 왕피천 생태보전지역 지정은 외면하고 광산, 임도, 도로건설 등 각종 훼손행위...
자연의 복원능력을 믿는다
1994년 삼척 505ha, 1996년 고성 3,762ha, 1998년 강릉.동해...
한북정맥의 끝, 곡릉천에 서다
산이 내게로 왔다 나는 산을 좋아한다. 그렇다고 많은 산을 다녀본 것은 아니다. 허나,...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이시종 의원 대표발의)에 대한 의견서
지난 2월 7일 발의된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시종 의원 대표발의, 이하...
독도를 지키는 솔로몬 지혜
독도를 지키는 솔로몬 지혜 지난 3.1절을 맞아 녹색연합은 ‘바로 잡아야 할 백두대간...
식목일 60주년, 이제는 나무심기 보다 생태 복원에 주력할 때
한국숲_60년_이제는_생태복원이다_보고서.hwp 이제는 어린 나무를 새로 심는 것보다...
[호남정맥] 정읍은 어디며, 또 순창은 어디인가?
4차탐사 첫날, 광산김씨묘역에서 굴재까지 3월 3일 호남정맥 4차 탐사팀이 내장저수지...
일제 강점기에 창지개명(創地改名) 된 백두대간 우리 땅 이름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
바로잡아야_할_백두대간_우리이름_보고서_요약본.hwp 녹색연합은 2005년 2월...
염암부락재 – 가는정이 – 왕자산
호남정맥 탐사대는 ‘염암부락재’에 발걸음을 다시 올려놓는다. ‘소금바위마을’이라는 예쁜...
일제 강점기 창지개명(創地改名)된 백두대간 우리 땅 이름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
녹색연합은 2005년 2월 28일(월) 오전 10시, 환경재단 기자회견실 (프레스센터...
‘백두대간 이름 찾기’ 북한산을 가다
백두대간팀에서 지난번 안암역 서명운동에 이어 새로운 서명 캠페인 장소를 물색했다....
미래세대가 설악산에서 만난 야생동물 이야기
- 백두대간 야생동물학교를 다녀와서- 작년 여름에 우리가 제주도에서 꿈꿨던...
1월에도 쭉~ 한북정맥환경탐사
지난 해 6월, 시민모임 녹색친구들과 함께 시작한 한북정맥환경탐사가 어느새 여덟 번째가...
자연을 그대로 두라
자연은 말 그대로 자연 그대로이다. 자연 그대로인 산이 파헤쳐져 허옇게 무너져 내리고...
환경비상시국회의 초록행동단 결의문
우리 초록행동단은 지난 1. 3 광화문에서 새해벽두 길을 나선 지 20여일만에 다시...
환경비상 초록행동단 순례15일째, 속리산문장대 온천개발 백지화
환경비상시국, 전국 환경파괴현장 순례 초록행동단 순례 15일째 속리산 문장대 온천 개발...
교육인적자원부의 “교과서에 잘못된 현행 산맥체계 바로 잡겠다”는 입장표명을 환영한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새 산맥 체계를 반영한 지도를 합리적인 절차를 거쳐 교과서에 반영하기로...
Q & A 백두대간, 이것이 궁금하다
Q & A 백두대간, 이것이 궁금하다 Q1. 백두대간은 무엇인가요?...
‘국가 지도에 백두대간 표기하기’ 대시민 서명 캠페인
- 일제 잔재 산맥개념 청산 요구 녹색연합은 시민들과 함께 국토인식체계 바로세우기 운동...
일제 잔재 산맥체계 대신 우리 산줄기 백두대간을!
해방 60돌을 맞는 2005년 일곱째 날, 명동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녹색연합은...
한반도 산맥체계 바뀌어야
산맥체계의_문제점과_대안.hwp 한반도 산맥체계 바뀌어야 - 태백산맥은 일제 수탈의...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는 제방 위주의 치수정책 전환하라!
제방_위주_치수정책의_문제점___김해_화포천의_경우.hwp 환경비상시국, 전국...
탁수문제로 무용지물 된 임하댐 폐쇄와 긴안천 망치는 성덕댐 건설 중단 선상시위
임하댐과_성덕댐의_환경문제_개요.hwp 환경비상시국, 전국 환경파괴현장 순례 초록행동단...
“자병산아 미안하다!!” – 사라진 백두대간 마루금에서
새벽 5시, 초록행동단은 겨우 출발준비를 마쳤다. 밖에는 아직도 매서운 칼바람 속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