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두대간 야생동물학교를 다녀와서- 작년 여름에 우리가 제주도에서 꿈꿨던...
1월에도 쭉~ 한북정맥환경탐사
지난 해 6월, 시민모임 녹색친구들과 함께 시작한 한북정맥환경탐사가 어느새 여덟 번째가...
자연을 그대로 두라
자연은 말 그대로 자연 그대로이다. 자연 그대로인 산이 파헤쳐져 허옇게 무너져 내리고...
환경비상시국회의 초록행동단 결의문
우리 초록행동단은 지난 1. 3 광화문에서 새해벽두 길을 나선 지 20여일만에 다시...
환경비상 초록행동단 순례15일째, 속리산문장대 온천개발 백지화
환경비상시국, 전국 환경파괴현장 순례 초록행동단 순례 15일째 속리산 문장대 온천 개발...
교육인적자원부의 “교과서에 잘못된 현행 산맥체계 바로 잡겠다”는 입장표명을 환영한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새 산맥 체계를 반영한 지도를 합리적인 절차를 거쳐 교과서에 반영하기로...
Q & A 백두대간, 이것이 궁금하다
Q & A 백두대간, 이것이 궁금하다 Q1. 백두대간은 무엇인가요?...
‘국가 지도에 백두대간 표기하기’ 대시민 서명 캠페인
- 일제 잔재 산맥개념 청산 요구 녹색연합은 시민들과 함께 국토인식체계 바로세우기 운동...
일제 잔재 산맥체계 대신 우리 산줄기 백두대간을!
해방 60돌을 맞는 2005년 일곱째 날, 명동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녹색연합은...
한반도 산맥체계 바뀌어야
산맥체계의_문제점과_대안.hwp 한반도 산맥체계 바뀌어야 - 태백산맥은 일제 수탈의...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는 제방 위주의 치수정책 전환하라!
제방_위주_치수정책의_문제점___김해_화포천의_경우.hwp 환경비상시국, 전국...
탁수문제로 무용지물 된 임하댐 폐쇄와 긴안천 망치는 성덕댐 건설 중단 선상시위
임하댐과_성덕댐의_환경문제_개요.hwp 환경비상시국, 전국 환경파괴현장 순례 초록행동단...
“자병산아 미안하다!!” – 사라진 백두대간 마루금에서
새벽 5시, 초록행동단은 겨우 출발준비를 마쳤다. 밖에는 아직도 매서운 칼바람 속에...
자병산을 백두대간 핵심구역으로 지정하고 복원하라
백두대간 파괴하는 자병산 추가개발 중단하라! - 자병산을 백두대간 핵심구역으로 지정하고...
자병산아! 미안해, 백두대간 파괴하는 광산개발 중단하라! <초록행동단 대형 애드벌룬 플랭카
환경비상시국, 전국 환경파괴현장 순례 초록행동단 대형 애드벌룬 플랭카드에 실어...
[호남정맥 탐사 두번째]금강과 섬진강의 뿌리
[호남정맥 탐사 두번째] 수분재 ~ 오계치 호남정맥으로 향하는 두 번째 아침, 여전히...
[호남정맥 첫 번째 이야기]전라도의 산줄기를 생명의 발걸음으로
무령공재 - 수분재 백두대간과 호남정맥이 만나는 장안산 아래에서 출정전야를 맞이했다....
‘대안’ 이야기의 ‘대안’을 위하여
박 영신 / 녹색연합 상임대표. 연세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아래...
호남정맥 환경탐사 발대식
호남정맥을 진심으로 가슴에 온전히 담아내겠습니다. 라는 작은 의식(고천제)을 거쳐...
산줄기는 끊어져도 내 땅에 내가 간다 – 한북정맥 7차 탐사
한북정맥 환경탐사를 진행한 지 벌써 반년이 넘어가고, 이제는 해를 넘기며 한북정맥...
백두대간을 국가지도에 표기하라
국회가 2003년 「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을 제정 공포한지 1년이 지났고, 2005년...
지율스님 청와대 앞 단식 농성 재개 (58+43일째)
다시 거리의 단식장에...
지도에서 백두대간을 만나자
지도에 백두대간 표기를 위한 서명운동- 지도에서 백두대간을 만나자 백두대간, 너의...
백두대간 비상시국
백두대간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백두대간보호법 시행령 제정이 파행으로 치닫고 있기...
백두대간보호법 파행 제정 저지 퍼포먼스 및 기자회견
백두대간보전단체협의회는 11월 22일 (월) 오후 1시, 광화문 열린문화시민공원에서...
보고서_백두대간보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연구_환경부_0303
040915_(환경부)_백두대간보전을_위한_제도적_개선방안연구(0303)_자료집.hwp...
(041108_신문보도)아 백두대간이여
아 백두대간이여 서울신문 백두대간 보호법에 관한 시행령이 입법 예고되면서 올 가을이...
(041106_신문보도)백두대간 보호 지역주민과 함께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근간을 이루는 산줄기로 남과 북을 잇는 주축이다. 한민족의 상징성을...
산림청, 4년째 방치된 대규모 광산에 또 다시 개발허가
산림청이 1997년 7월 경관 훼손과 생태계 파괴를 이유로 채석허가 연장을 거부해,...
<백두대간 마룻금에 올라 벗이 되다>에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녹색연합 창립 13주년 기념 백두대간 사진전과 후원의 밤 <백두대간 마룻금에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