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포터의 녹색 마법이 숲을 구했다....
수도권의 중심 생태축인 한남정맥, 군부대 폐기물과 생활쓰레기로 몸살 !
2._폐기물_목록과_사진.hwp 1._폐기물_위치도.hwp 조사일시 : 2007년 3월...
뮐라가 보내온 소식!
* 곗돈을 보냈다고 메일을 보냈더니 미군기지정화위원회 뮐라 사무총장이 메일을...
기억을 새로운 역사로 되살리는 사람들
오키나와 역사와 미군기지 기행 지난 2월 22일부터 27일까지 일본 남쪽 지방인...
[도로정책자료집]생태축을 단절하는 폐도로 현황과 폐도로 정책의 문제점
생태축을_단절하는_폐도로_현황과_폐도로정책의_문제점.pdf [생태축을 단절하는 폐도로...
국가 등산로 지정 신중해야
&n...
산림청은 백두대간 국가등산로 지정계획 철회하라!
산림청은 백두대간 국가등산로 지정계획 철회하고, 정부, NGO, 전문가가 참여하는...
발암물질 권하는 해양수산부
&n...
남.동해안 발전 특별법 제정을 반대한다
연안생태계 훼손을 담보로 한 근시안적 막개발특별법 논의를 멈춰라! 건설교통위원회...
진보논쟁, 새로운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n...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법률안에 대한 의견서
지난 7월 14일 이재창 의원이 대표발의한 수도권정비계획법 일부 개정법률안에 대한...
시레토코 세계자연유산을 가다
일본은 홋카이도의 시레토코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10개의 문화유산과 3개의 자연유산을...
'올무가 지천… 이래도 되는건가요?'
[현장] 올무에 뒤덮인 강원도 정선 가리왕산 오마이뉴스 강기희 기자 지난 이틀 동안...
꿈과 희망을 만드는 녹색생명운동을 펼치겠습니다.
꿈과 희망을 만드는 녹색운동을 펼치겠습니다. 최 승 국 (녹색연합 신임 사무처장)...
생태적 비전을 제시하는 대통령
국민들은 이런 대통령을 원한다(환경) 한국사람 평균 수명이 남성은 75세 여성은...
녹색연합 2007-2008년 중점 활동과제 선정 – 최승국 신임 사무처장 중심으로 사무처 개편
2007녹색연합_활동계획발표.hwp 전국녹색연합은 27일, 회원총회를 통해...
감사원, 반환 미군기지 환경에 관한 공익감사청구 기각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외교 협상의 책임, 감사원마저 외면 감사원은 작년 9월 22일,...
옛 도로 생태복원을 향한 첫걸음, 목우재 복원을 환영한다
23일, 국립공원관리공단은 터널이 뚫리면서 도로 본래의 기능을 잃어버린 옛 목우재...
자전거를 넘치게 하자
얼마 전 독일 환경수도 프라이부르그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등 자전거도시로 환경연수를...
밀렵이 활개치는 지리산
백두대간의 정점이자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 1월 중순을 바라보는 지리산은 천왕봉을...
백두대간 등 생태축을 단절시키는 폐도 현황 – 도로 기능을 상실한 폐도로 60여 곳, 총연장 209km에 달해
생태축을_단절하는_폐도로_현황과_폐도로정책의_문제점.pdf 백두대간 등 생태 축을...
백두대간지킴이_자료집
백두대간지킴이_자료집.pdf 시민모임 대간지킴이의 2006년 활동자료집입니다. [...
남북관광교류단지 건설로 민통선 생태계 훼손 – 정부는 생태계 보전대책부터 수립해야
국민들의 기대 속에 열렸던 금강산 길, 그러나 무계획적인 개발로 심각한 환경훼손에...
백두대간에서 해안사구를 절단하며 들어서고 있는 민통선내의 남북관광교류단지
통일로 가는 중요한 길목인 금강산 길이 생태계 보전대책 없는 난개발로 인해 민통선...
어느 필리핀 활동가의 투쟁
미군이 남기고간 기지의 오염으로 인해 고통 받는 필리핀 사람과 땅을 살리기 위해...
환경단체들이 뽑은 올해의 10대 환경뉴스
전국 39개 환경단체의 연대기구인 한국환경회의가 한 해를 마무리하며‘2006년 10대...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의견서 발표
제주_해군기지_건설에_반대하는_시민단체_의견서.hwp - 제주 해군기지 건설은 공군기지...
생태복원 제도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
2006년 12월 7일, 국회 대회의실에서 생태복원 제도개선을 위한 심포지엄이...
생태복원 제도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 – ‘이제는 생태복원입니다.’
녹색연합은 12월 7일(목)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우원식 의원과, 환경부,...
환경정보공유 및 접근절차 부속서 A
4_부속서A.hwp 2003년 한미 양국이 서명한 '환경정보공유 및 접근절차 부속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