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발생한 울진 산불로 멸종위기종1급 산양의 서식지가 위기에 처해...
[응원요청] “쓰레기 버리지 않을 권리, 시민이 되찾아요!”
최근 기업들은 도시락 김 트레이, 제과점 빵칼, 요구르트 빨대, 스팸 뚜껑 등을 뺀...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2) 마라도 미역의 행방불명_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강정찬 박사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연재에 앞서 ‘해조류의 대량 소멸현상’ 해조류가...
[기고] 도로를 친환경발전소로
도로에서 만나는 재생에너지 건축물 유리창이나 투명 방음벽 등에 부딪혀 죽는 야생조류는...
[성명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역 에너지정책 무시하고 국민안전 위협하는 핵 발전 공약, 핵산업 육성 전략을 폐기하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역 에너지정책 무시하고 국민안전 위협하는 핵발전...
[논평] 배달앱 3사, 음식배달 다회용기 시범사업 참여를 환영한다.
오늘(3/25), 서울시는 배달플랫폼 4곳과 함께 음식 배달 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기고] 안전한 원전신화는 이미 깨졌다. 탈핵이 필요한 이유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의 29%는 해안가에 위치한 핵발전소에서 만들어진다. 핵발전소...
[성명] 선거 공보물과 현수막, 시민들의 세금으로 만들었다. 쓰레기만 남는 선거 홍보는 중단되어야 한다.
지난 3월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는 ‘숫자로 보는 20대 대통령...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1) 범섬과 산호정원이 나의 일터, 법환포구 바다 길잡이 _강용옥 서귀포 법환 해조호 선장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연재에 앞서 ‘마라도 미역의 행방불명’ 대한민국...
[기고문] “우리동네에 핵발전소 건설, 찬성하십니까?”
글. 변인희 (녹색연합 기후에너지팀 활동가) “우리동네에 핵발전소 건설,...
[성명]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의 ‘용산 집무실’ 이전 계획을 반대한다
- 용산기지 반환 절차와 환경오염 문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아 - 정화부터 공원 조성에...
[보도자료] 산불의 일상화·대형화, 산불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사진1. 울진삼척 화재 현장 지난 4일 시작된 울진·삼척 산불은 213시간...
[보도자료] 강남 한복판 검은색 가루를 뒤집어쓴 시위대 등장, ‘포스코 석탄발전 중단!’ 요구하는 퍼포먼스 진행
녹색연합X이제석광고연구소, 석탄오염물질을 상징하는 검은색 가루를 뒤집어 쓰고 탈석탄...
[카드뉴스] 재난 앞에 위태로운 핵발전소, 이대로 괜찮나요?
오늘날 우리는 점점 더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재난 앞에 위태로운 핵발전소를...
[성명] 환경오염 가중하는 폐현수막 재활용 국비 지원, 행정안전부의 그린워싱을 규탄한다.
오늘(3월 14일) 행정안전부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기 위한...
[카드뉴스] 도시 에너지전환 #1_내가 쓰는 전기가 누군가의 눈물을 타고 흐른다?
내가 쓰는 전기는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요? 지금까지의 도시 에너지 풍요는...
[카드뉴스]배달용기는 재활용 정책의 사각지대
[논평]희망이 아니라 숙제만 남긴 대선, 이제 시민이 나설 차례
‘당선자 윤석열’로 20대 대통령선거가 끝났다. 전체 유권자 중 96.39%가 선택한...
[카드뉴스] 2022년 선거홍보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일회용컵 5억 4천만 개 사용한 배출량과 같아
[보도자료] 기후위기 시대 대형산불, 국가적 대응책 마련 시급
-기후위기 재난 울진 산불 사흘째 이어져-유례없는 건조한 날씨에 산불 위협 계속될 것...
[기고] 기후위기의 뿌리, 성장주의 넘어서기
2021년 11월 영국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에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보도자료] 탈핵을 향한 길은 계속되어야 한다. 후쿠시마 핵사고 11년, “기억하라 후쿠시마! 핵발전소 이제그만!” 탈핵행동 진행
탈핵을 향한 길은 계속되어야 한다.후쿠시마 핵사고 11년, “기억하라 후쿠시마!...
현실에는 있지만 대선에는 없는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위기 – 20대 대선후보 환경 관련 질의내용
현실에는 있지만 대선에는 없는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위기녹색연합이 질의한 20대 대선...
[논평]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하는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합의 도출을 환영한다
케냐 나이로비에서 163개 회원국이 참여해 개최한 제5차 유엔환경총회는 국제적...
[성명서] 새만금 신공항 사업에 대한 ‘조건부 동의’ 결정 규탄한다
대선 일주일 앞두고 환경부, 개발 면죄부라는 정치적 결정기후위기 시대, 공항이 아니라...
[성명] ‘환경오염, 정화 책임’ 언급 없는 미군기지 반환은 기만이다
- 발암물질 범벅, 오염된 땅 돌려받으며 개발 청사진만 언급- 미군에 오염 면죄부,...
[성명] 국민연금은 신규석탄사업 지속하는 포스코에 대한 적극적 주주권을 행사하라
- 2022년 1차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개최 관련 성명 오늘 열리는 2022년...
[참가모집] 기억하라 후쿠시마 핵발전소 이제그만 – ‘대책 없는 핵폐기물, 서울도 예외가 아니다’
후쿠시마 핵사고 11년, 방사능피해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안전한 사회, 탈핵을...
[기자회견] 전국 신공항 건설에 대한 대선 후보 질의 결과
대선후보는 신공항이 아니라 생명을 약속하라! - 이재명 후보, "가덕도 신공항·새만금...
[성명]플라스틱 전주기 관리 방안이 포함된, 구속력있는 해양폐기물 국제협약 제정을 촉구한다.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 해양생태계를 근본적으로 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