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비밀은 위험하다. 물음표에 답하라!” 구미 휴브글로벌 불산누출사고 5주년...
[성명] 평택의 ‘새 집’으로 이사하기 전에 64년 사용한 용산 미군기지, 오염원 정보공개·치유부터
평택의 ‘새 집’으로 이사하기 전에 64년 사용한 용산 미군기지, 오염원...
[긴급] 9/27(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문화재위원회 부결 촉구 기자회견과 집회
함께 외쳐요. "설악산 그대로!"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9월 27일 문화재위원회 심의...
[시민행동 성명서] 친원전 대표교수, 공론화위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다 발각
친원전 대표교수, 공론화위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다 발각 원자력계 자료 셀프...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의 불공정한 운영에 대한 시민행동 입장
수 십 년간 지속되어온 원전확대 위주 정책의 결과,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논의는...
[보도자료]로드킬 신고 어플리케이션 ‘굿로드’ 개발
-로드킬 데이터를 수집해 로드킬 대처 방안 마련에 활용 -로드킬의 위험과 대책 마련의...
[신고리5.6호기공론화 시민참여단 발표회] 우리의 선택이 가져올 변화
우리의 선택이 가져올 변화 홍종호 경제학 박사 ,서울대학교 교수 ...
안전한세상을위한신고리5,6호기백지화시민행동 성명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이렇게는 안 된다 공론화위원회는 편향적 절차 이행과 시민행동...
[소식지] 녹색희망 259호
벼리 p.1 호두나무집편지 — 나는 ‘규격 외 사람’ 입니다 — 윤상훈 p.2 녹색칼럼...
[성명] 환경부는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를 재시행하라.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의 부활을 촉구한다. - 기업과의 자율협약으로는 일회용 컵 문제...
[경주지진 1년 연대성명]국민안전과 탈핵 열망 무시하는 정치권의 행태를 강력 규탄한다.
관측사상 최대 규모였던 경주지진이 발생한지 벌써 1년이 되었다. 작년 9월 12일과...
[보도자료] 철도 난개발로 예산낭비, 환경생태파괴 가속화, 철도 공공성 악화
녹색연합 철도난개발과 공공성 악화 보고서 발표 국토부 백두대간 관통 대형...
[기자회견문] 문재인 대통령이 말한 평화와 민주주의는 어디 있는가?
2017년 9월 7일, 문재인 정부가 끝내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를 강행했습니다....
[성명] 동북아 평화를 위협하는 최악의 선택, 북한의 핵실험을 강력히 규탄한다
[성명] 동북아 평화를 위협하는 최악의 선택,...
[현장소식] 농촌진흥청, GM작물 상용화 추진 중단 및 GM작물개발사업단 해체 약속하다
[보도자료] 농촌진흥청, GM작물 상용화 추진 중단 및 GM작물개발사업단 해체 약속...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함께 생각해야 할 것
※ 8월 25일부터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 참여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가...
[jtbc밀착카메라] 야생동물은 안 오고 사람만…’생태’ 빠진 복원
[앵커] 백두대간의 주요 능선들 가운데 도로가 생기면서 끊어졌던 곳을 다시 연결하는...
[기자회견] 대통령 수문개방 지시 후 3개월, 4대강은 여전히 숨 막힌다. ‘4대강 민관합동 평가 및 재자연화 위원회’ 즉각 구성하라!
2017년 8월 22일(화) 오전 11시에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해 활동해온 시민,...
[공동성명]이런 데도 핵산업계를 믿으란 말인가?
[한빛(영광) 4호기 안전성 문제에 대해 시민사회단체 공동성명서] 부실시공, 은폐,...
기상이변으로 보호구역 산사태 가속화
기상이변으로 보호구역 산사태 가속화 - 백두대간, 국립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쓰레기, 어떤 시대의 착오
요즘은 꽤 색다른 것들로부터 나의 존재, 정확히는 내 존재의 규모를 확인하게 된다. 나 혼자 만들어내는 쓰레기를 통해서다. 이따금 책상 밑의 개인 휴지통에 쌓이는 쓰레기들을 볼 때, 내 방의 작은 휴지통이 금세 쓰레기들로 넘실대는 것을 볼 때, 흠칫 놀라며 ‘도대체 이런 것들을 내가 어느 틈에?’ 하고 스스로 오리발을 내미는 적도 있다.
환경부는 야생 반달가슴곰 KM-53을 즉시 석방하고, 종 복원사업 전면 재검토하라!
[기자회견문] 환경부는 야생 반달가슴곰 KM-53을 즉시 석방하고, 종 복원사업 전면...
우리 만나꽈~ 제주에서
알고 계신가요? 녹색연합이 10여년 동안 제주 바다 속 연산호를 조사하고 기록했던...
아름다운 바다, 산호와 듀공, 구럼비 바위 이야기
산호의 정체 형형색색의 산호가 일렁이는 바닷속은 아름답고 신비하다. 바다의 꽃이라고...
야생동물탐사단 8기 “처음 마주한 야생동물의 세계
처음 산양에 관심이 생긴 것은 지난 6월이었다. 6월 24일 비가 부슬부슬 내리던...
[논평] 신임 문화재청장은 설악산천연보호구역을 지켜 내야한다
○ 김종진 신임 문화재청장은 언론인터뷰를 통해 “설악산오색케이블카사업은 문화재의 가치를...
[논평]용산미군기지 환경문제, 서울시와 정부의 엇갈린 행보
용산미군기지 환경문제, 서울시와 정부의 엇갈린 행보 -기지 '바깥'에서만 조사와 정화...
야생동물탐사단 8기 “생각하는 현진”
어느덧 산양 조사를 시작한지 20일. 절반 남짓 지난 지금, 나는 3가지에 대해서...
[성명서]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이렇게는 곤란하다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성명서] 공론화의 목적은 사회적...
[보도자료]신고리 5,6호기 공론화와 중단 결정은 적법한 절차
[보도자료] 갈등학회 공론화 토론회 토론문 소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와 중단 결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