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것이 아름답다] 7/8월 합본호 ‘고래와 물범의 시간들’ 특집 발간

2015.07.14 | 행사/교육/공지

150708_cover_크기조절

특집 <고래와 물범의 시간들>
빗방울달‧타오름달 7‧8월 여름호 <작은것이 아름답다>는 우리바다 포유류를 만납니다. 우리 바다에는 토종고래 상괭이, 남방큰돌고래, 점박이물범을 비롯해 다양한 바다 포유류들이 서해와 남해, 동해 곳곳을 누비며 바다 생태계를 지키고 있습니다. 이들은 우리 바다 생태 깃대종이자 보석 같은 존재입니다. 바다 환경은 갈수록 척박하고 위험합니다. 그물에 걸리거나 섞여 잡혀 목숨을 잃습니다. 2015년 우리 여름 바다 남방큰돌고래, 상괭이,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안부가 궁금합니다.

***

제주도에는 토박이 남방큰돌고래가 산다 | 고래연구소 편집부
남방큰돌고래는 오랫동안 큰돌고래와 같은 종으로 여겨지다 2000년대에 이르러 다른 종이란 것이 밝혀졌다. 우리나라에서는 불법 포획됐던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가 바다로 돌아간 뒤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남방큰돌고래의 사진과 세밀화를 함께 담아 소개한다.

우리나라 바다에 이렇게 멋진 돌고래가 있습니다 – 고래연구소 김현우 님 | 이다영
고래연구소에서 남방큰돌고래를 연구하는 김현우 연구사를 만나 이야기 나눴다. 평생을 한 지역에 머무르며 해안선 1킬로미터 안쪽에서 생활하는 남방큰돌고래는 최상위 포식자로 바다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최근 활발해진 연안 개발과 해상 풍력발전소 사업으로 인해 서식지를 위협받고 있어,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 남방큰돌고래와 같이 살아가는 바다 | 조약골
돌고래 쇼 중단과 돌고래를 바다로 돌려보내는 보호 활동을 꾸준히 해 온 ‘핫핑크돌핀스’ 활동 이야기를 담았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살아있는 생물을 국가가 몰수한 ‘돌고래 재판’과 남방큰돌고래들의 자연 방류 과정은 사람과 자연이 평화롭게 함께 살아가야 함을, 모든 생명들은 있어야 할 자리에 있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는 사실을 다시금 되새기게 한다.

백령도 물범바위에는 점박이물범이 있다 | 고래연구소 편집부
점박이물범은 아주 오래전 해빙기 때 서해에 고립되어 서식지인 백령도와 번식지인 중국 랴오둥만을 오가며 산다. 1940년대엔 8000마리 남짓이었지만 지금은 300여 마리 정도 남아 ‘멸종 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됐다. 점박이물범의 사진과 세밀화를 함께 담아 소개한다.

점박이물범은 우리 바다 생태의 역사이다 | 김기돈
백령도와 중국 랴오둥만을 오가며 살아가는 점박이물범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연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번식지와 서식지는 한 덩어리이기 때문이다. 점박이물범 연구는 단지 어떤 한 개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바다 생태계 전체를 아우르며 어떻게 다가서야 하는지 질문하는 일이 된다. 점박이물범은 우리 바다 생태계를 아우르는 깃대종으로 중요하다.

우리바다 토종돌고래, 상괭이가 숨쉰다 | 고래연구소 씨라이프부산아쿠아리움 김현주 편집부
상괭이는 서해에만 3만6천여 마리가 살고 있는, 우리바다에서 가장 많이 사는 토종 돌고래이다. 연안의 풍부하고 다양한 바다생물을 먹는 탓에 고기그물에 가장 많이 섞여 잡히는 고래이기도 하다. 상괭이의 사진과 세밀화를 함께 담아 소개한다.

우리가 몰랐던 토종돌고래, 상괭이의 바다 | 정은영
상괭이는 서해와 남해에 주로 서식한다. 개체수가 많지 않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에 따라 보호종으로 지정됐다. 3만6천여 마리가 살고 있는 우리나라 서해는 상괭이의 세계 최대 서식지이지만, 상괭이가 잘 알려지지 않은 탓에 보호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혼획으로 죽어가는 상괭이는 해마다 1천여 마리에 이른다.

그물에 걸려 죽어가는 고래들 | 정은영
세계에서 혼획으로 죽는 고래들은 해마다 30만 마리나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혼획, 좌초, 표류로 잡힌 고래들이 13종 1,849마리였다. 혼획으로 희생되는 고래에 대한 내용과 혼획량이 많은 어업 방식에 대한 내용을 인포그래픽 형식으로 정리했다.

강치가 사라진 독도는 안녕한가 | 김윤배
가제, 강치… 100여 년 전, 독도 바다의 주인이었던 ‘바다사자’를 부르던 이름들이다. 하지만 일본인들이 바다사자 잡이를 본격 시작한 뒤 1903년부터 1941년까지 약 1만5천여 마리 바다사자가 희생됐고, 국제자연보존연맹은 1990년대 중반 독도 바다사자를 ‘멸종 동물’로 분류했다. 바다사자가 사라진 독도에서 건강한 생태계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을 생각한다.

젠장, 고래가 시장바닥서 파는 생선입니까? | 정일근
울산에 살며 고래에 대한 관심으로 오랫동안 보호 활동을 해 온 정일근 시인의 고래 이야기를 담았다. 텔레비전이나 영화, 수족관, 고래박물관의 모형이 아닌 살아있는 고래를 직접 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넓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아름다운 고래의 모습을 되살리지 않고, ‘바다의 꿈’ 고래를 ‘생선 취급’하며 죽이는 정부와 행정의 태도를 비판한다.

고래와 물범을 알고 지키는 여름살이 | 편집부
온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고래와 물범, 바다사자 이야기를 담은 동화책을 소개하고 해양 포유류 생태와 관련 문제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추천하는 다큐멘터리를 정리했다. 바다 포유류를 지키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정보도 함께 담았다.

***

【2015년 7·8월 229호 빗방울달·타오름달 벼리】

[특집] 고래와 물범의 시간들
4 한국바다의 고래와 돌고래 | 핫핑크돌핀스
6 제주도에는 토박이 남방큰돌고래가 산다 | 고래연구소 편집부
12 우리나라 바다에 이렇게 멋진 돌고래가 있습니다 – 고래연구소 김현우 님 | 이다영
18 제주 남방큰돌고래와 같이 살아가는 바다 | 조약골
22 백령도 물범바위에는 점박이물범이 있다 | 고래연구소 편집부
28 점박이물범은 우리 바다 생태의 역사이다 | 김기돈
34 우리바다 토종돌고래 상괭이가 숨쉰다 | 고래연구소 씨라이프부산아쿠라이움 김현주 편집부
40 우리가 몰랐던 토종돌고래, 상괭이의 바다 | 정은영
46 그물에 걸려 죽어가는 고래들 | 정은영
50 강치가 사라진 독도는 안녕한가 | 김윤배
54 젠장, 고래가 시장바닥서 파는 생선입니까? | 정일근
60 고래와 물범을 알고 지키는 여름살이 | 편집부

***

3 성북동 골짜기에서 여름이 없다면? 우리 바다에 고래가 없다면? | 김기돈
68 작아의 날 나무 껴안는 날 | 편집부
72 마중물 도시의 미래, 걷기에 달렸다 | 이문재
78 녹색 늬우스 나라안 나라밖 | 편집부
80 녹색의눈1 거꾸로 달려가는 전기정책 –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쟁점들 | 이상훈
84 녹색의눈2 고리 1호기 폐쇄,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 윤기돈
88 특별기획1 메르스 확산과 의료민영화의 이중주 | 정형준
92 특별기획2 내가 겪은 메르스 | 강대곤
96 꽃피는 녹색경제 숲이 사람들을 초대하다 – 숲에서 만드는 사회적경제 | 김재현
102 메아리 19살, 파랑. 청소년의 끝에서 섬을 가다 | 서현지 정인하
104 똑똑똑 읽새님 ‘작아’는 귀담아 듣지 않으면 들리지 않는 이야기를 전해주는 ‘속삭임’ 같습니다 – 안재정 님
106 빗방울달·타오름달 책
108 푸른알림판
110 재복이 통신
112 지난호 이야기
113 읽새통신
114 작아통신
115 작은알림판
119 맺음이야기

* 표지와 본문용지 모두 재생종이로 만들었습니다. 본문용지는 사용 후 고지 100퍼센트인 대한제지 재생종이 지알코트 70그램과 중질지 70그램이며, 표지용지는 사용 전 고지 55퍼센트 앙코르지 130그램 재생지로 염소계 표백제와 형광염료를 쓰지 않았습니다.

***

‘작은것이 아름답다’ 가치가 숨 쉬는 세상, 정기구독으로 함께 만들어가요.

구독료 낱 권 값 5000원 CMS 자동이체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 1년 구독료 54000원(10퍼센트 할인) 2년 구독료 102,000원(15퍼센트 할인) 3년 구독료 144,000원(20퍼센트 할인)

* 녹색연합 회원님께 30퍼센트 할인 혜택을 드립니다.

365일 초록빛 삶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선물하세요. 월간 <작은것이 아름답다>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선물하세요. 가족, 친구, 사랑하는 사람에게 선물하시는 분의 이름으로 작아를 보내드립니다.

* 작아지기 후원안내 – 1만 원 이상 CMS 자동이체 달마다 작아를 후원하며 월간 작은것이 아름답다를 구독합니다. – 숲을 살리는 물건 구매 10퍼센트 할인 혜택을 드립니다. 연말 기부금영수증을 발행해드립니다.

구독신청, 후원신청은 여기에서! http://jaga.or.kr/?page_id=368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