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것이 아름답다] 작아 팟캐스트, 함께 들어요!

2016.06.03 | 행사/교육/공지

작아 팟캐스트_부분 편집_로고추가

국내 최초의 생태환경문화 월간지에서
생생한 목소리로 전하는 지구별 푸른 소식,
자연을 닮은 사람들의 이야기.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대안적 삶을 전하는 <작은것이 아름답다>가
팟캐스트를 시작합니다!

***

지금, <작은것이 아름답다> 팟캐스트를 들어보세요.

1회 듣기 : 20주년 개편호, 3월호가 나왔습니다.
<작은것이 아름답다> 팟캐스트 첫 회,
창간 20돌 개편호인 2016년 3월호 주요 내용을 소개합니다.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5주기를 맞아
<방사능, 밥상에 오르다> 주제로 특집을 준비했습니다.

2회 듣기 : 지난 5년 동안의 <작아> 기사로 짚어보는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 사고 뒤 5년이 흘렀습니다.
후쿠시마와 핵발전 문제를 꾸준히 지켜본 <작은것이 아름답다>의 지난 5년을 살펴보며
다시 읽어도 여전히 마음에 꽂히는 기사들을 들려드립니다.

3회 듣기 : 그린 디자이너, 윤호섭 선생님을 만나다.
<작은것이 아름답다> 기사로 자주 접해서 궁금증을 더했던 분들,
작아팟이 매월 한 분씩 직접 그 분 일터로 찾아가서 생생한 목소리를 전하려 합니다.
일요일 오전 대학로에서 만날 수 있는, 티셔츠에 친환경메시지가 담긴 그림을 그려주는 할아버지!
그린 디자이너 윤호섭님(국민대 명예교수)을 만나러 우이동 작업실로 출동했습니다.

4회 듣기 : 초록책방 첫 시간!
작아팟 네 번째 시간은 <초록 책방>으로 준비했습니다.
제목은 누구나 들어봤을 것 같지만 솔직히 읽은 이는 별로 없는 고전에서부터,
최신 이슈를 다룬 화제의 신간까지, 생태 환경 분야의 책들에 집중하는 시간입니다.
독서 지도란 말조차 없었던 30여년 전부터,
아이들이 책과 친해지는 방법을 연구하고 전파해온 독서교육 전문가 여희숙 님과
고시 서적만 찾는 학생들에게도 꿋꿋하게 좋은 책을 권하며
대학교 앞 작은 책방을 지켜오신 은종복 님,
두 분의 작아 읽새와 함께 녹음했습니다.

5회 듣기 : 잎새달 4월호 책거리
4월호에서는 우리들이 날마다 먹고 자고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곳, 집 이야기를 가득 담았습니다.
텔레비전 집방에선 볼 수 없는 진짜 집 이야기!
고치고 꿰매고 만들어 가는 우리들의 집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6회 듣기 : 불편함의 미학, 채나눔의 건축가 이일훈을 만나다.
건축가 이일훈 님을 만났습니다.
지난 삼십 년 동안 ‘불편하기 살기, 밖에 살기, 늘려 살기’로 요약되는
설계방법론 ‘채나눔’을 실천해온 건축가입니다.
기찻길 옆 공부방, 풀무학교 밝막도서관을 비롯해 거창하진 않지만
‘사회에 권할 만한’ 공간을 만들어 온 분입니다.
여러 가족들이 함께 어울려 사는 공동 주택 ‘소행주(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을
시작하는 단계부터 지금까지 함께 만들어왔습니다.

7회 듣기 : 건축가 조윤석 홍윤주의 유쾌한 대담
“삶이 깃든 집, 공간을 만드는 손길”
4월 특집에 실린 젊은 건축가 두 분의 발랄하고 유쾌한 대담 기사를 현장 그대로 들려드립니다.
생활 밀착형 건축 잡지 웹진을 운영하며 다양한 삶의 공간을 실험하고 있는 홍윤주 님,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일들을 연구하는 10년후 연구소 소장 조윤석 님이 함께했습니다.
월드컵경기장 맞은 편, 마포석유비축기지 재생 사업장에 자리한
시민 문화 공간 ‘비빌 기지’에서 녹음했습니다.

8회 듣기 : 초록책방 두 번째 시간 ‘고르게 가난한 사회’
8회 팟캐스트는 달마다 한 번 생태 환경 분야의 주목할 만한 책을
함께 읽는 코너, 초록책방 두번째 시간입니다.
독서교육전문가 여희숙 님, 대학교 앞 작은 서점 풀무질 일꾼 은종복 님
두 분 읽새가 함께 만들고 있습니다.
이번 초록책방에서는 이계삼 님의 책 《고르게 가난한 사회》를 함께 읽었습니다.

9회 듣기 : 푸른달 5월 책거리
9회 팟캐스트는 푸른달 5월호 특집 ‘지구 아이’를 이야기 합니다.
엉뚱 발뚱한 존재들이 만든 위험한 놀이터 : 놀이운동가 편해문과 순천시 기적의 놀이터 이야기,
어린이의 몸과 마음을 아프게 하는 것들 : 독성물질과 환경 호르몬 이야기,
어린이가 없어지는 사회 : 어린이다운 어린이가 사라지는 사회,
아이가 자연을 만나는 법 : 아이의 생태감수성을 깨우는 법을 들여다봤습니다.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