볕 좋은 날 레몬이와 산책 ©배선영 지난해에 개를 입양했다. 이름은 레몬, 원 앤 온리...
기후위기
[4월의 기후에너지 퀴즈] 전세계의 OO부문은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똑똑이 문어와 기후에너지지식을 알아보는 이달의쏙쏙! 4월 퀴즈를 맞춰보세요....
[성명] 식목일 대형산불과의 사투, 산불은 기후위기 재난
식목일을 하루 앞두고 대한민국 전역에서 산불이 터지고 있다. 충남 홍성, 충남...
[기고] 기후위기 시대에 공항 난개발? 홀로 역주행하는 한국
공항, 기후위기로 가는 기항지 근거리 항공노선을 이용하기 전에 '당신은 킬로미터 당...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대응 시민사회 공동 토론회(3/2)
2023년 3월 25일 이전에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2030 NDC...
[특강 세미나]기후위기 시대, 재판정에 선 법(2/9)
세계 각지에서 정부와 기업을 상대로 한 기후소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한국에서도,...
기후위기 스토리텔러(이야기꾼) 모집
기후위기 스토리텔러(이야기꾼)를 모집합니다기후위기로 인해 사라져 가는 침엽수를...
[보도자료] 초고압송전선로 산불 대비책 마련 시급
올해, 산불로 인한 송전선로 고장 59건 발생30개 노선에서 500시간 이상 선로 정지...
[기고문] 90310을 기억하며
©Pixabay 구조받았으나 살아남지 못한 존재올 여름, 폭염과 폭우 속에서 알려지지...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세미나
기후위기 적응의 핵심과제인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이 절실한 가운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기후위기 적응에 대처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보도자료] 석탄산업 투자배제 정책 뭉개는 국민연금에 170개 시민사회단체, 공개서한 발송
‘탈석탄 선언’에도 불구하고 실효적인 정책 도...
[브로슈어] 원전이 기후위기 대안이라고?
[보도자료] 2022년 기후위기 금강소나무 고사 실태
기후 스트레스로 소나무가 죽어가고 있다. 백두대간과 낙동정맥의 주요 생태축에서...
[성명] 10차전력수급기본계획안은 에너지전환과 기후위기 대응에 걸맞게 전면 수정되어야 한다.
오늘(30일)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실무안이 공개되었다. 2030년 원전의 비중을...
[보도자료] 지리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지도 작성, 기후위기로 인한 집단고사 가속화 확인 돼
지리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지도 작성,...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 10인의 증인 이야기모음
제주바다가 제주답게 존재하기를 바라며 제주바다 10인의 증인을 만났습니다. 10인의...
[보도자료] 전국 375개 시민사회단체, 윤석열 정부에 플라스틱 오염 해결 촉구
1회용품 사용 감량을 위한 국정과제 제대로 이행하라.“1회용품 규제 강화, 1회용컵...
[참여] 924 기후정의 온라인 띠잇기 “9분 24초”
<9분24초 기후정의 온라인 띠잇기> 피켓 인증 릴레이 공동행동🤝🤝🤝 각자의...
[모집]녹색연합 기후위기 시민과학 모니터링 모집
녹색연합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모니터링 모집 “2022년 한반도의 여름은 폭염과...
[울진산불현장 참가후기] 함께 했던 발걸음 오래도록 기억하겠습니다.
지난 6월 25일 토요일, 장마 속 햇살이 유난히 반짝이던 날, 녹색연합은 시민들과...
[의견서] ‘새정부 에너지정책방향’에 대한 녹색연합 의견서
1. 원전확대에만 초점을 맞춘 에너지정책! 폐기되어야 할 정책은 원전 확대 정책이다....
[성명] 밀양 산불은 기후위기 재난의 증거, 정부는 적응 대책에 적극 나서야
경남 밀양 산불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산불 3단계'와 산불국가위기경보 ‘심각,...
[카드뉴스] 한 번 쓰고 버리는 선거홍보물 ㅅㄱ으로 만든다고⁉
환경, 분산, 자립을 생각하는 에너지 <도로에서 만나는 재생에너지> 보고서
⚡<도로에서 만나는 재생에너지> 보고서 다운받기 기후위기와 대기오염, 방사능...
[보도자료] 배출량 상위 1% 기업이 지난 10년간 누적배출량의 절반, 상위 10%가 78% 차지… 소수기업의 기후위기 책임 크다
-녹색연합, 1400곳에 달하는 명세서 공시업체의 지난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 내역...
2022 그린백패커 모집 <백두대간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
초보 백패커의 발걸음으로 이어가는 백두대간 주최 : 녹색연합후원 : 제로그램협조 :...
[신한울 3, 4호기 Q&A] 기후위기 시대의 신규 핵발전소 건설, 왜 안될까요?
5월 10일 바로 어제, 윤석열 제 20대 대통령 임기가 시작되었어요. 윤석열 정부의...
[보도자료] 기후•생태위기 대응과 시민안전을 포기한 윤석열 정부 OUT
기후•생태위기 대응과 시민안전을 포기한 윤석열 정부 OUT◼ 일시 : 2022년 5월...
[카드뉴스] 신한울 3·4호기 건설, 대체 뭐가 문제죠?
전세계가 재생에너지로 나아간다는데, 차기 정부는 신한울 3, 4호기 핵발전소 건설을...
[성명]지구의 날, 더 이상의 축제는 없고 파국을 막는 일만 남았다.
올해로 52주년을 맞은 지구의 날, 우리는 다시 묻는다. 기후와 생물다양성 위기 앞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