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갯벌(Getbol,...
녹색연합
[서명] 녹색성장말고, 기후정의를 위한 법을 만들어라
? 기후위기가 다가온다 이제 기후위기라는 말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습니다. 기후위기는...
[보도자료] 토론회 ‘산지에서 농지로 간 재생에너지, 도시 에너지 전환으로 해법을 찾다’
녹색연합은 7월 1일 (목), 서울 종로구 녹색교육센터에서 도시 에너지전환을 주제로...
[논평] 화장품 소분(리필) 활성화 방안 발표를 환영한다.
오늘(7/1) 환경부와 식약처는 합동 보도자료를 통해 화장품 소분 매장 활성화 지원...
[성명] 정부는 2050 탄소중립 관련 공언(空言)을 이제 그만 멈춰라
-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시나리오(안) 보도에 부쳐 오늘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부가...
화장품 용기 재활용 등급 표시 면제? 이들이 바꿨다
화장품어택시민행동 6개월… 화장품 업계 변화 이끈 마중물 아모레퍼시픽 담당자가 시민들의...
[기지밖액션] 미군기지 정화의 몸짓을 찾아요! ‘정화 사절단’을 모십니다!
기지밖 피스액션! 몸과 땅의 연결성을 인식하고 몸짓으로 대중에게 알릴 메신저...
[성명서]기후위기를 핵으로 막겠다는 송영길 대표의 착각과 맹신, 그리고 핵사랑을 규탄한다
-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의 분명한 입장을 요구한다 오늘 송영길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기후행동학교: 재연결작업 5회차 (앞으로 나아가기) 후기
지난 6/3 녹색연합 기후행동학교_재연결작업 5회차 프로그램 중 마지막 시간이...
기후행동학교: 재연결작업 3회차 (고통을 존중하기) 후기
5월 20일 목요일 저녁 7시, <기후행동학교: 재연결작업>의 세 번째 시간이...
기후행동학교_재연결 작업(고마움으로 시작하기) 2회차 후기
지난 5/13 녹색연합 기후행동학교(재연결작업 워크숍)가 진행되었습니다. 5회차...
[성명]지구의 날 51주년, 공허한 말잔치는 이제 그만
51번째 지구의 날에 필요한건 적극적인 기후행동을 표명하는 것 2030년 온실가스...
[참가신청] 새:친구를 모집합니다!
눈 '깜빡'할 새, 유리창에 '꽝!' 유리창에 부딪혀 죽어가는 새들이 우리나라에서만 한...
녹색연합 활동보고서 (2020) 우편으로 받아보세요
녹색연합 2020 활동보고서가 발간 되었습니다. (PDF / 우편) 발로 뛰고, 눈으로...
[카드뉴스] IMAS도입 지뢰 문제 해결하라
[활동 소식] 차디찬 바닥에서 다시 싸움을 시작합니다_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은 지금….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능선이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설악산은 국립공원,...
[기자회견문] 화장품어택-시민들이 행동한다.
시민들이 행동한다. 광화문 LG생활건강앞에서 < 화장품 어택 > 진행-화장품...
녹색연합 4대 강령 다시 읽기, 다시 쓰기
여러 갈래의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진단도 제각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벗어날 수...
[기자회견문] 기후위기 시대, 토건삽질을 당장 멈춰라.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을 즉각 철회하라.
국회는 선거용 특별법 철회하고 온실가스 감축과 지속가능한 지역 상생 방안을 논의하라...
[성명]삼척석탄화력발전소 추진하는 포스코에 대해 국민연금은 적극적인 주주권을 행사하라
\기후위기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포스코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보도자료] 녹색연합, <플라스틱 이슈리포트-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발간
녹색연합, <플라스틱 이슈리포트-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발간...
[회원가입 이벤트] 2021, 새해에는 ‘녹색’을 더해볼까요?
2021년, 여러분은 새해에는 어떤 계획을 세우고 다짐하셨나요? 계획 속에 지구를 위한...
[활동소식] 기후위기로 인권침해 피해를 호소하는 시민 41명,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제기
'기후위기인권그룹'은 지난 11/26에 '기후위기로 인한 인권침해 증언대회'를...
코로나 이후 환경운동, 어디로 가야 할까?
코로나 이전의 삶은 기억나지 않고, 코로나 이후의 삶은 기약할 수 없습니다. 개인의...
[포럼] 야생동물 서식지 보존운동의 방향은? – 김산하 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
[내부포럼] 우리는 공존할 준비가 되어있을까요? 동물 그리고 인간의 절멸 위기 앞에...
[포럼] 우리는 어떻게 서로를 돌볼 수 있을까? - 장이정수 여성환경연대 대표
[내부포럼] 돌봄은 현대에 와서 중요성이 많이 잊혀진 주제입니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터뷰] 코로나19 시대, 한국 환경운동을 진단하다 – 명호 생태지평 부소장
[인터뷰]...
[인터뷰] 재난시대의 회복력, 지역에서 찾다 – 유창복 미래자치분권연구소 소장
[인터뷰]...
[인터뷰] 생태학자가 바라본 코로나 시대 환경운동 –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인터뷰]...
[인터뷰] 에너지 전환과 먹거리 전환을 기후위기 대응의 쌍두마차로 – 조길예 기후행동비건네트워크 대표
[인터뷰]...